자료실

[스크랩] 음양오행으로보는 인체와음식의궁합

필봉 장 2011. 3. 24. 22:36

대자연과  인체는  결국  하나입니다.

대우주와  소우주  그것이죠~

 이런  음양오행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사람은  태어난  월(月)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여름에  태어난  사람과  겨울에  태어난  사람은  서로  다른  천기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태어난  월은  년월일시의  사주(四柱) 중  월주(月柱)의  천간인  월간(月干)에 해당됩니다.

 

1. 봄  태생( 입춘~입하/ 2.4경~5.5일경)  :  木 = (간, 쓸개) 약함.

2.여름  태생(입하~하지/5.5경~6.21일경):  火 = (심장,소장) 약함.

3.늦은여름  태생(하지~입추/ 6.21경~8.7일경):  土 = (비장,위장) 약함.

4. 가을  태생(입추~입동/8.7경~11.7일경):  金 = (폐,대장)약함.

5. 겨울  태생(입동~입춘/11.7경~2.4일경):  水 = (신장,방광) 약함.

** 날짜는  음력기준임**

 

이렇게  태어난  달의  계절이  자신의  오행이라고  하면, 

사람은  자신이  태어난  계절에  몸이  가장  약하게  되고 ,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자기가  태어난  계절의  음식을  먹으면  됩니다.

 

즉,  봄에  태어난  사람은  木의  소모가  큰  때에  태어나  木이  부족해  봄에  약하며  간(肝)이 약해져  병이  시직되고,  여름태생은  여름에 약해지고  화(火)의 장기인  심장,  늦여름  태생은  늦여름에  약해지고  토(土)의  장기인  비.위장,  가을 태생은  가을에  약해지고  금(金)의  장기인  폐.대장,  겨울태생은  겨울에  약해지고  수(水)의  장기인  신장이  약해지면  병이  시직된  다고  보는  것입니다. 

결국,  자기가  태어난  계절에  나오는  음식이  그  사람에게는  천하의  보약으로  되니,  이것  또한  대자연의  섭리입니다.

( 봄나물과 잡곡밥은  최상의 궁합이다 )

 

1. 봄 태생에  맞는  나물 - 木의  나물 1순위, 水의 나물 2순위, 火의 나물  3순위로  좋고,  金의  나물을  피함이  이상적으로,  봄은  木으로  木이  제일 좋고,  水의 2순위는  수생목(水生木)으로  木을  키워주는  어미와  같은  오행이고,  3순위  火는  목생화(木生火)로  내가(木이) 키워  주어야  할  자식에  해당되는  오행이므로,  木) 水) 火로  섭취하고,  金은  금극목(金剋木)해서  木(자신)을  극하므로  피함이  좋은  것으로  됩니다.

 

2. 여름태생에 맞는  나물:  火) 木)土로  좋고,  水는  피함.

3. 늦여름  태생에  맞는  나물 : 土) 火) 金이  좋고,  木을  피함. 

4. 가을태생에  맞는  나물 : 金) 土) 水 가 좋고, 火를  피함.

5. 겨울태생에  맞는  나물 : 水) 金) 木이  좋고, 土를  피함.

각각의 몸에 좋은 순서대로이며, 오행에 맞는 나물들은 아래 설명을 참고 하세요

* 木 (신맛): 냉이, 부추, 시금치, 돌나물, 미나리, 봄동, 참취 ,참나물, 배추, 청경채, 열무, 파래등.

* 火(쓴맛) : 씀바귀, 고들빼기, 민들레, 쑥, 머위, 고사리, 고비, 참두릅, 쑥부쟁이,상추, 쑥갓,곰취 등.

* 土(단맛): 양배추, 죽순, 미역취, 연근, 토란대, 마, 고구마 줄기, 누런호박, 양송이 등

*金(매운맛) : 달래, 산마늘, 산부추, 도라지,잔대, 모싯대, 더덕, 얼레지, 개미취,원추리 ,엉겅퀴,질경이, 엄나무순(개두릅)등.

*水( 짠맛) : 다시마, 미역, 김, 톳나물, 함초, 우엉, 가지 등.\

 

~다음에서펌~

 

 

출처 : 산꾼의약초방
글쓴이 : 들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