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 을 명 |
유 래 |
서창리 |
(서창,창말,창촌)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조선시대때 서창(西倉)이 있었으므로 서창 또는 창말, 창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함에 따라 학송리와 우산정을 병합하여 서창리라 하였다. |
망산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화동리,오복리, 망우정리,장산리,목우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망우정과 장산의 이름을 따서 망산리라 함 |
동호리 |
(동녁,동변,동호리)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서호(리)동쪽이 되므로 동녘또는 동변, 동호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백야리를 병합하여 동호리라 함. |
서호리 |
(서편,세편,서호리)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동호리의 서쪽이되므로 서편, 세편또는 서호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동리,응치리,토동리,변두리,세련리,송죽정,냉천리,목우천 일부를 병합하여 서호리라 함. |
산호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산호정(山湖亭)이란 정자가 있었으므로 산호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암리,금곡리,산호정리,경재리,장도를 병합하여 산호리라 하였다. |
나불리 |
(나발도,나발섬,나불,나불섬,나불도)(리)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나발섬(나불도)안이 되므로 나발도, 나불섬, 나불, 나불도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나불리라 하였다. |
용앙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구리,궁항리,모가두,상앙리,항앙리를 병합하여 용두와 앙감의 이름을 따서 용앙리라함, 면 소재지로서 학교, 경찰 관지서,우체국들이 있다. |
난전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두리,마산리,난대리,도음전,윤덕리,검길리,당두리를 병합하여 난대와 도음전의 이름을 따서 난전리라 하였다. |
삼포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삼봉리,엄포리,가내항,영호정을 병합하여 삼봉과 엄포의 이름을 따서 삼포리라 하였다. |
용당리 |
본래 영암군 곤일종(삼호)읍의 지역으로서 용이 살았다는 못이 있었으므로 용당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지리,모밀항,아산리,중흥리,산은리를 병합하여 용당리라 하였다. | |
|
|
|